엔터경제 연예 스포츠 라이프& 피플 포토·영상 스페셜&기획 최신


엔터경제 연예 스포츠
라이프& 피플 포토·영상
스페셜&기획 조이뉴스TV

이준익·류승완·봉준호…이들이 한 자리에 모인 이유는(종합)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한국영화감독 표준연출계약서 공청회서 발전적 논의

[권혜림기자] 한국 영화 감독들이 영화 감독 표준계약서의 완성을 둘러싸고 발전적인 논의를 이어갔다. 영화계의 예민한 이슈인 저작권 문제부터 감독 인센티브 지급 기준, 편집권 보장, 크레딧 명시 권리 등에 대해 현장의 감독들이 제 목소리를 내며 권리 지키기에 나섰다.

2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한국영화감독 표준연출계약서' 공청회가 진행됐다. 한국영화감독조합(DGK) 대표 이준익 감독과 부대표 한지승 감독, 연구원 노철환 박사, 법률 고문 안혁 변호사, 영화사 리얼라이즈픽쳐스 원동연 대표가 진행자 및 발제자로 참석했다. 류승완, 봉준호, 임필성, 신수원, 변영주, 임순례, 방은진 등 조합원인 감독들이 다수 자리를 채웠다.

이날 공청회는 지난 3년 간 작업해 온 '한국영화감독 표준연출계약서'의 완료를 앞두고 영화 산업 각계 인사를 초청해 그간의 과정과 내용을 설명하고 다양한 의견을 취합하기 위해 열렸다. '베테랑'의 류승완 감독과 '사도'의 이준익 감독, '화차'의 변영주 감독, '마담 뺑덕'의 임필성 감독 등 충무로의 유명 감독들이 각자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했다.

이준익 감독은 "지난 수십 년 간 한국 영화계에 많은 계약서들이 있었고 감독 계약서도 있었지만 이는 과거의 관행에 머물러 있었다"며 "많은 시장의 변화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한국 영화 발전을 위한 계약서 양식에 아직 도달하지 못했다는 현실성을 영진위에서 파악한 것"이라고 감독표준계약서 작업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 감독은 "그 과정의 결과로 오늘 표준계약서를 발표하고 공청회를 열어 향후 기성 감독은 물론 신인 감독, 미래에 감독을 준비하고 있는 후배들에게 좋은 표준이 될 만한 계약서로 기능하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알렸다.

표준계약서 작업은 지난 2012년 이명세, 임순례, 박신우 감독 등이 처했던 감독 교체, 혹은 제작사·배급사와 갈등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지난 2013년 4월 1차 완성본을 발표했고 두 차례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 TF 회의로 내용을 수정, 보완했다. 지난 2014년 조합은 영진위안을 수용했고 2015년 계약서를 최종 완성했다.

계약서 제1조에 명시된 '계약의 목적 및 성격'의 첫 조항에는 '본건 프로젝트 제작에 관한 기획 및 개발 단계에서 감독의 독자적이고 주도적인 지위와 역할을 인정하고 이에 따른 제작사와 감독의 권리, 의무를 명확히 하기 위해'라는 내용을 언급했다. 이어 '본 계약으로 기획 및 개발을 완료한 감독은 본건 프로젝트의 영화 제작 착수시 연출 우선권을 갖는다'고 명시했다.

발표된 표준계약서의 주체는 제작사와 감독이다. 계약 주체를 계약서 시작에 명시했다. 두 주체의 동반자 관계를 강조한다는 취지다. 감독과 제작사 각 지위와 역할, 책임을 강조해 장기적으로 한국 영화 제작 환경을 이루겠다는 것이 궁극적 목적이다.

눈에 띄는 지점은 한국 영화계의 이슈 중 하나인 저작권 문제에 대한 접근, 그간 '진행비'로 일컬어지던 감독의 기획 및 개발 업무에 대한 대가를 월정액으로 정산된 '기획 개발비'로 명시했다는 점 등이다.

이에 더해 제작사와 투자배급사 등이 감독에게 영화의 내용이나 편집 방향에 수정을 요구할 시 내용증명 우편 등을 활용해 서면으로 의사를 전달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제작사와 투자사 등의 요구로 재촬영 혹은 추가 촬영을 할 때 추가 비용을 지불하는 사항이나 1차 편집본 열람에 대한 권고 사항 역시 세세하게 명시됐다.

또한 최근 한국 영화계의 이슈 중 하나인 저작권 문제에 대해서도 '기획 원안자'라는 새 개념을 사용해 최초의 아이디어를 제공한 사람의 권리를 인정하는 항목을 뒀다.

한지승 감독은 "아이템 개발, 과정에서 계약이 해지되는 등의 상황이 있어 권리에 대한 귀속 관련 항목을 도입해 명확해 구분하자는 개념을 썼다"며 "선택적 수익 분배안, 1차 편집권, 감독의 크레딧 표시 문제 등이 계약서에 나름대로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들어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 영화들의 저작권이 프로듀서에게 있던 것과 관련해 류승완 감독은 "제작사를 찾을 수 없는 영화들이 몇 개 있다"며 "그런 경우 영상자료원에 입고된 필름을 꺼내는데, 입고자가 사라져 제 영화를 꺼내올 수 없는 상황도 있더라. 내가 어딘가에서 상영을 하고 싶어도 내 영화에 대한 권리를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고 알렸다. 방은진 감독 역시 "제작자가 사라질 경우, 제작사가 없어졌을 경우의 조항을 괄호 안에 명시했으면 좋겠다는 제안"이라고 말했다.

'광해, 왕이 된 남자'를 제작한 원동연 대표는 제작사의 입장을 대변하며 저작권 문제에 접근했다. 그는 "고민스러운 것은 기획 원안이라는 것이 어디까지 인정돼야 하는지다. 기획 원안이 감독에게서 왔다면, 예를 들어 초고 형태라면 논쟁점이 적은데 몇 장의 시놉이라면, 감독이 원안자로 시작해 아이템이 나왔어도 거기서 영감을 받아 전혀 다른 이야기가 나왔다면, 그래서 프로젝트 자체가 가지 못하게 된다면, 굉장히 모호해지는 셈"이라고 알렸다.

이어 "제작자들은 창작자가 아니다. 미술, 음악, 총괄 영화 감독 등이 자기 창작물을 대행해줄 사람으로 우리를 생가한다고 여기지, 우리를 대표 창작자로 생각해 저작권을 줬다고 생각하진 않는다"며 "감독에게 저작권이 있는지 없는지의 문제가 아니라 이 작품에 참여한 모든 이들의 이해 관계가 있는 문제"라고 밝혔다.

계약서의 주체가 제작사와 감독인 것에 대해서도 고민어린 우려가 제기됐다. 임필성 감독은 "투자사와 문제를 논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 제작사와 이야기하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고민이 있다"고 알렸다.

원동연 대표는 "(완성된 계약서 중) 제작사와 감독이 계약 주체인데 총 수익에서 감독에게 인센티브나 보너스를 지급하는 것은메인 투자사는 물론 창투사의 동의도 받아야 줄 수 있다. 우리 선에서 합의를 볼 수 있는가, 총 수익에서 받는 것이 맞는지에 대해서도 고민이 많았다"고 말했다.

전 롯데영상산업부 상무이사 최건용 교수는 "현실적 어려움에 처하고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한 대다수 연출자들을 위한 계약서가 돼야 한다"며 "실제 이 계약서 조항을 모두 적용받는 감독은 아마도 이 계약서가 필요 없는 감독일 것"이라고 고민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새로운 창작 활동을 해서 자신의 인생을 걸려는 신인 감독이나 한 두 번 흥행 실패했던 감독들에게 이런 조건을 적용했을 때 최종적으로 계약을 마무리할 수 있는 확률이 얼마나 될까 의심이 생기기도 한다"고 꼬집었다.

그런가 하면 류승완, 이준익, 한지승 감독과 원동연 대표는 영화의 시작과 끝 화면을 장식하는 크레딧에 배우나 감독, 촬영과 미술, 음악 등 각 부문 헤드스태프들보다 투자배급사 업무 총괄자들의 이름이 주요하게 명시되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류승완 감독은 "크레딧에 대한 항목이 중요하다 생각한다"며 "영화감독조합에서 실제로 영화를 만드는 기준을 잡는 것이 크레딧인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페이지 크레딧이 오프닝에도 앤드에도 들어가는 등 그 기준이 없다"며 "감독의 크레딧을 몇 번 할 것인가 등에 대해 우리가 기준을 만들어야 다른 헤드스태프와 아티스트 이름을 명기할 때도 기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원동연 대표는 "크레딧 문제가 중요하다"며 "감독 뿐 아니라 직능 단체에게도 그렇다. 크레딧은 창작자의 자존심을 보호하는 것, 또 하나는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을 띤다. 제공, 공동제공, 투자 총괄, 배급 총괄 마케팅 총괄 등 이들이 창작자들인가 싶다"고 꼬집었다.

그는 "어떤 감독이 만든 영화인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크레딧인데 총괄자들이 창작자의 자존심을 보호하나, 아니면 수용자에게 정보를 주나?"라고 질문을 던진 뒤 "할리우드 스탠다드는 스태프, 주연 배우들, 프로듀서, 그리고 작가, 감독이 기본"이라고 알렸다.

이에 다시 류승완 감독은 "크레딧이 정말 심각하다"며 "최근 투자사에서는 그간 크레딧을 오프닝에만 넣었었는데 엔드에 배우 앞에 넣는 것을 또 요구하고 있다. 한 편의 영화에 크레딧이 두 번 들어가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준익 감독은 "폐해의 증거"라며 "대기업에서 생각하는 영화 생산자는 납품업자에 불과하다는 것을 크레딧이 증명하는 것"이라고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번 표준계약서 작업에 앞장서 온 한지승 감독은 "이 문제와 같이 산업적으로 논의할 점이 너무 많다"며 "사실 신인 감독이나 흥행 성적이 안 좋은 분들은 아에 마케팅 때 이름이 빠져 있고 배우들보다 작거나 흐리게 이름이 들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것부터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알렸다.

조이뉴스24 권혜림기자 lima@joy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이준익·류승완·봉준호…이들이 한 자리에 모인 이유는(종합)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