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뉴스24 박진영 기자] 배우 구교환이 '탈주'로 또 한번 강렬한 변신에 나섰다. 이제훈의 러브콜 이후 동시 출연이 성사된 '탈주'는 이제훈과 구교환의 만남만으로도 큰 기대를 모았던 작품. 구교환은 특유의 존재감 넘치는 연기로 매 장면 궁금증과 긴장감을 일으킨다. 구교환의 진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는 '탈주'다.
오는 7월 3일 개봉되는 '탈주'(감독 이종필)는 내일을 위한 탈주를 시작한 북한 병사 규남(이제훈 분)과 오늘을 지키기 위해 규남을 쫓는 보위부 장교 현상(구교환 분)의 목숨 건 추격전을 그린 영화다.
비무장지대, 철책 반대편의 삶을 향해 생사의 선을 넘어 질주하는 북한군 병사 규남과 그를 막아야 하는 북한 보위부 장교 현상 사이에 벌어지는 숨가쁜 추격을 그려냈다. 구교환은 북한 보위부 소좌 리현상 역을 맡아 규남 역 이제훈과 연기 호흡을 맞췄다.
현상은 러시아에서 피아노를 전공했지만 현재는 유능한 장교의 삶을 살고 있다. 탈주병 발생에 대한 상황 파악을 위해 규남의 부대로 온 그는 어린 시절 알고 지낸 규남을 보호해 준다. 허나 규남의 진짜 탈주가 시작되자 자신의 오늘을 지키기 위해 기를 쓰고 추격한다. 구교환은 보위부 장교의 위압적인 존재감과 어릴 적 알던 형의 다정함, 집요하고 무자비한 추격자의 모습을 자유롭게 오가며 깊이감 있는 연기 내공을 뽐냈다. 다음은 구교환과 나눈 일문일답이다.
"시나리오도 있겠지만, 이제훈 배우, 이종필 감독의 존재가 '탈주'를 선택한 가장 큰 이유다. 감독님과는 첫 작품인데, 제가 오랫동안 호감을 가지고 작품을 봤다. 실제로도 매력이 넘친다. 이제훈 배우도 똑같다. 오래전부터 지켜봤다. 시나리오를 쓰면서도 생각하고 같이 작업하는 꿈도 꿨는데 이번에 같이 장면을 만들게 되니 안 할 이유가 없었다."
"지금 이 모습 이대로라 생각했다. 감독님이 연출한 작품을 계속 지켜봤다 보니까 지금의 형태가 나올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계속 상상했다. 감독님이 사람을 대하는 태도나 시선 등 글 너머의 것을 표현해 준다. 리현상은 강력한 빌런이겠지만 다른 얼굴로 비춰주시겠다는 생각과 기대가 있었다."
"규남의 탈주를 왜 막는가다. 차 안에서 규남에게 군인이 맞지 않는다고 하는 건 자신에게 하는 말이다. 정말 피아노가 다시 치고 싶었다. 규남을 막아야 자신이 버틸 수 있으니까 그렇게 하는 건데 규남을 놔주기도 한다. 신기한 인물이다."
"감독님, 이제훈 배우와는 한 번도 같이 작업을 하지 않았는데 마치 두세 작품을 같이 한 것 같았다. 낯설지 않았다. 첫 촬영이 총 쏘는 장면인데, 포근하다는 생각을 했다. 이미 제가 두 분을 너무 많이 좋아했고, 그분들의 필모그래피를 봐왔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기술적 발성으로 성취하겠다고 다가가지는 않았다. 북한 언어를 지도해주시는 선생님과 '어디까지 허용이 되나. 이런 표현도 가능한가'라며 얘기를 많이 했다. 디테일은 기억나지 않지만, 현상은 자기 안의 감정을 언어로 숨겨야 하는 것도 있지만 또 드러내기도 한다. 어느 정도 허용이 되는지 체크를 받았다. 다행히 선생님께서 열려 있었다. 사실 우리도 각자의 억양이 다르지 않나. 현상은 많은 대사를 소화해야 하고, 감정을 관객들에게 잘 전달할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하게 만들어보자는 생각이었다. 트레이닝을 많이 했다. 말은 하면 할수록 느니까 프로덕션 들어가기 전에 만나서 얘기하고 통화도 많이 하면서 그 인물로 있으려고 했다."
"차로 이동하면서 플래시백 없이 대화로만 나온다. 이제훈 배우도 저도 회상 장면 없이 관계를 보여줘야 하는 미션이 있었다. '둘이 오랜만에 만나는 사람처럼 얘기하자'라고 했다. 규남과 현상이 절친했던 사이까지는 아니라도 역사가 길구나, 느끼게 하기 위해 규남이를 처음에 보는 장면이 중요했다. 오랜만에 만난 친한 형이 부르듯 풀어진다. 그때 규남과 내가 오랜 관계였다는 생각이 들게 해야 했다. 그리고 규남에게 벽 같은 걸 만드는 것도 중요했다."
"직장 동료이기도 하고, 나무엑터스 행사 때도 보곤 했다. 항상 송강 배우를 그 거리에서 본다. 회사 식구가 많은데 가까이서도 멀리서도 들여다보고 싶은 배우다. 나이가 보이지 않는다. 어른스럽기도 하고 동생 같기도 하다. 그렇게 내가 느낀 감정을 선우민에게 넣자고 했다. 현상의 꿈 같은 존재다. 결국 피아노인 거다. 그래서 연회장에서 선우민과 마주했을 때 지금 내 모습이 부끄러운 거다. 우리가 함께 어떤 꿈을 나눴던 사람을 오랜만에 다시 만났을 때 내가 얘기했던 대로 달려가고 있으면 괜찮은데, 멈춰 있으면 너무 창피하고 부끄러웠을 거다. 그런 모습 때문에 덜컹했던 것 같다."
"감정적인 건 당연하게 생각했다. 어떤 면에서 규남은 오랜 친구다 보니 설정 자체가 그렇게 되어 있다. 선우민은 조금 더 확장되어 있다. 닿을 수 있는 존재가 아니라 꿈이라고 생각했다. 유령 같은 존재가 러시아에서부터 저를 찾아와서 괴롭히는 거다. 제가 보는 꿈이고 물리적으로 닿기보다는 꿈이 만든 유령 같은 거다."
"선우민이 두고 온 꿈이라면, 규남은 지금 꾸는 꿈이다. 현재의 꿈인 것 같다."
"많이 있다. 제가 좋아하는 수많은 작가님, 감독님, 배우들이 저에게 영감을 많이 줬다. 그분들이 제가 꿨던 꿈이거나 현재의 꿈이다. 친구일 때도 있고 같이 일을 하는 사람이 아닐 때도 있다. 어디 길을 가다가 봤던 풍경 속 사람일 때도 있고, 음악일 때도 있다. 그림, 만화책일 때도 있다. 너무 많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