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경제 연예 스포츠 라이프& 피플 포토·영상 스페셜&기획 최신


엔터경제 연예 스포츠
라이프& 피플 포토·영상
스페셜&기획 조이뉴스TV

'버닝' 유아인 "이해하지 않고, 교만하지 않게"(인터뷰②)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종수의 세상에 들어가는 느낌 제공하고 싶다"

[조이뉴스24 권혜림 기자] 배우 유아인은 '버닝'의 종수를 이해하지 않았다고 했다. 이해보다는 느낌이 중요하다고 했다. 많은 설명이 덧붙여지지 않은, 너무나 날 것의, 혹은 너무나 모호한 이 인물을 보며 관객 역시 저마다의 느낌을 얻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자신 뿐 아니라 영화를 보는 관객도 종수가 되는 경험을 할 수 있길 바랐다.

한국 최고의 청춘스타로, 또한 스타성과 연기력을 겸비한 배우로 정상의 자리를 지켜온 유아인이 '버닝'의 종수를 통해 그간 연기했던 청년들의 것보다도 내밀하고 깊숙한 내면을 연기한 감회를 알렸다.

지난 18일(이하 현지시각) 제71회 칸국제영화제가 열리고 있는 프랑스 칸의 해변 모처에서 경쟁부문 초청작 '버닝'(감독 이창동, 제작 파인하우스필름, 나우필름)의 이창동 감독과 배우 유아인, 스티븐연, 전종서가 참석한 가운데 라운드 인터뷰가 진행됐다.

'버닝'은 유통회사 알바생 종수(유아인 분)가 어릴 적 동네 친구 해미(전종서 분)를 만나고, 그녀에게 정체불명의 남자 벤(스티븐 연 분)을 소개 받으면서 벌어지는 비밀스럽고도 강렬한 이야기. 일본의 유명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 소설 '헛간을 태우다'에서 모티프를 얻은 작품이다. 지난 16일 칸에서 첫 선을 보인 뒤 현지 언론의 호평을 받고 있다.

첫 번째 칸 초청에서 연기 호평을 받은 그에게 첫 칸 레드카펫 소감을 묻지 않을 수 없었다. 지난 16일 진행된 영화의 프리미어에서 유아인은 15년의 배우 활동 이력을 자랑하듯 당당하고 여유로운 모습으로 레드카펫을 밟았다. 뤼미에르대극장으로 들어서면서는 긴장한 신인 전종서의 손을 꼭 잡고 걸었고, 뒤따라오던 스티븐연을 돌아보며 어깨를 감싸기도 했다.

"생각보다 담담했어요. 오래 애착 가는 작품으로 영화를 보여드리고 박수를 받으니 당연히 기분이 좋게 느껴졌죠. 그런 것(칸 초청의 감흥)은 잘 생각하지 않으려 해요. 제가 여기 사는 사람도 아니고, 영화제는 한 번 즐기는 경험이니까요. 그런 순간을 흠뻑 즐기고 싶은데, 요즘 그런 걸 잘 못 즐기고 있어요."

이유를 묻자 그간의 고민들이 막힘 없이 흘러나왔다. 유아인은 "어떤 영화 외적 사심들, 욕심들이 많이 없어진 것 같다"며 "연기에 대한 진정성이나 배우로서의 사명감, 소명의식에 대해 이야기해도 그 외적 욕망 욕심 사심도 틀림없이 있는 것이고 즐길만한 것들인데, 이제 많이 비워졌다고 해야 하나"라고 말했다.

"(영화제 초청과 호평 등은) 형식에 대한 영감과 액션들이지, 나 개인을 향한 게 아니니까 꼴값 떨 수 없는 일이라 생각해요. 당연히 그렇지 않을까 싶어요."

'버닝'의 종수를 마주하면서는 영화 '완득이' '사도', 드라마 '밀회' 등에서 유아인이 보여준 청춘의 얼굴을 떠올리게 되기도 한다. 하지만 '버닝'의 종수는 그 중에도 인물의 저 깊은 내면과 진동을 담아내야 했던 캐릭터다. 유아인은 "그간 많은 인물, 많은 청춘을 보여드렸지만 이 정도로 내면을 포착하는 작품에 임했던 적이 많지 않았던 것 같가"도 답했다. 이 영화 속 인물이 꼭 유아인 자신의 실제 모습에 가장 가까운 것 같다는 질문에도 생각을 밝혔다.

"폭발적 감정과 에너지, 힘, 혼란함 등을 굉장히 양식화된 표현으로 드러내고 많이 보여드린 순간들이 있었어요. 그리고 청춘의 내면에만 머물면서 그들을 깊숙하게 관찰하는 작품들이 많지 않기도 하고요. 저 역시 그에 임해왔지만, 이만큼 인물을 집요하게, 그것도 내면을, 그린 작품은 처음 같아요. 대사가 정말 없어요. 해미가 한 독백에서 치는 대사들이 영화 전체 종수의 대사보다 많을 정도죠. 그만큼 외적인 표현, 혹은 외부의 표현이 아닌 내면을 갖는 게 중요했어요. 그걸 담았기 때문에 종수의 내면을 통해 '유아인의 내면'이라 여겨주는 분들이 있는 것 같아요."

자신을 가장 날 것으로 담아낸 캐릭터라면, 종수는 그래서 그에게 더 아프고 고단한 캐릭터일 수 있었다. 하지만 유아인은 "막 억지로 만드는 것이 더 힘든 일 아닐까"라고 말했다. 그는 "억지로 만들 수 없는 현장이니, 가공된 느낌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인물이 아니었다"며 "감독의 요구사항 자체도 '표현하지 마. 절제해. 조금 더 압축하고 함축적으로 연기해. 강박 느끼지마. 그냥 걸어. 그냥 존재해' 같은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존재하는 연기. 그것이 만들어내는 효과는 우리 영화가 포괄적으로 가져가는 모호함, 불명확성, 미스터리가 인물과 함께 하도록 하는 일 같아요. '슬퍼' 혹은 '기뻐'가 아닌 거죠. 내면이 폭발하거나 급변하고 움직이지만, 그게 뭔지 알 수 없고 실체를 찾기 힘든 거예요. 그 미스터리가 스릴러적, 장르적 쾌감을 주는 미스터리인지를 떠나서 이 세계에 대한 궁금증, 인물이 가지는 타인들에 대한 미스터리, 세상에 대한 미스터리인 거죠. 그것을 담아내는 영화의 형식 자체가 미스터리를 추구하고 있다는 게 굉장히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고, 영화를 훨씬 두텁게 만드는 점 아니었나 싶어요"

유아인은 종수를 이해하지 않았다고도 했다. 인물을 더 알기 위해 또래의 동생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그 마음을 들여다보려 부단히 애를 썼지만, 결국 '더 모르겠다'는 답이 자신에게 돌아왔다. 종수와 같은 인물을 연기하는 데 있어, 어쩌면 이해는 필요치 않거나 혹은 애초에 불가능한 것인지도 몰랐다.

"저는 종수를 이해하지 않았어요. 어느 때보다 시대상과 현실에 가까운 인물이니 해석하기 위해서, 평소 동생들을 어려워하는 편인데도 동생들을 취재하고 인터뷰아닌 인터뷰를 하기도 했어요. 낯선 사람들을 만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눠봤죠. 그러면서 임했어요. 특히 중요한 부분이었던 것 같아요. 이 시대 청춘을 표현함에 있어 교만하지 않게 연기하는 것, 향수에 취해서 '내 20대 청춘은 이랬어' 하지 않고, 뻔한 방식으로나 성의 없이 접근하지 않고, 진짜 할 수 있는 만큼 들여다보기위해 많이 애썼던 것 같아요. 그럴수록 '요즘 애들 어떤지 알겠어'가 아니라 '모르겠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저도 그렇잖아요. 사람들이 절 보며 '쟨 뭔지 모르겠어' 하니까요.(웃음)"

종수는 가공되거나 양식화된 인물이 아니다. 어쩌면 그 속내가 무엇인지 관객 모두가 다른 답을 품고 극장을 나서게 만들 캐릭터다. 이를 연기하는 유아인 역시 "이번 과정은 특히 세상을 향한 내 해석이 아닌 느낌을 통해 연기하려 했다"고 말했다.

"(영화 작업에 있어) 뭘 바라보고 가는지에 대해선 저마다의 온도차가 아주 있고, 그런 부분들을 가져가기 위해서 (때로는) 나조차 모르는 표현을 아는척 하고 표현해야 할 때가 많아요. 인물을 이해하고 내가 속한 세상을 이해해야 연기를 할 수 있으니 저는 연기를 통해 세상 공부를 많이 했죠. 그 과정을 통해 공부하고 알게 되고 깨우침을 얻기도 하지만 이번 과정은 특히 세상을 향한 내 해석 아닌 느낌으로 연기했어요. 잘 가공되고 만들어진, 잘 표현된 인물로 설득시키는게 아니고, 종수가 가지는 인간, 인물의 감정과 느낌을 통해 관객이 같은 느낌을 갖게 하고 싶었어요. 이해시키는게 아니라 공감하게 하고, 그 사람이 되는 체험을 제공하는 것. 그 순간, 공기, 종수가 사는 세상에 들어가는 것 같은, 혹은 그 세상에 살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했던 것 같아요."

한편 제71회 칸국제영화제는 19일 폐막식을 열고 수상작(자)을 공개한다.

조이뉴스24 칸(프랑스)=권혜림기자 lima@joy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버닝' 유아인 "이해하지 않고, 교만하지 않게"(인터뷰②)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