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뉴스24 박진영 기자] 늘 한 발 앞서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해온 최동훈 감독은 '외계+인' 시리즈를 통해 또 한번 놀라운 기술력과 상상력을 펼쳐냈다. 고려와 현대를 잇는 시공간의 확정, 매력 넘치는 캐릭터의 향연 등 '외계+인' 시리즈는 지금껏 본 적 없는 진일보한 한국 영화임에 틀림없다. 스코어로만 평가할 수 없는 강력한 힘이 있다. 특히나 '외계+인' 2부는 모든 떡밥을 회수하며 완벽한 마침표를 찍는다. 강렬한 액션과 압도적인 스케일을 넘어 결국엔 만남과 이별, 인연의 뭉클함을 선사하며 깊은 여운을 남긴다.
오는 10일 개봉되는 '외계+인' 2부(감독 최동훈)는 치열한 신검 쟁탈전 속 숨겨진 비밀이 밝혀지는 가운데 현재로 돌아가 모두를 구하려는 인간과 도사들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타짜', '전우치', '도둑들'을 이끌었던 최동훈 감독의 첫 시리즈물 연출작의 완결편으로, 류준열, 김태리, 김우빈, 이하늬, 염정아, 조우진, 김의성, 진선규 등이 열연을 펼쳤다.
2022년 개봉된 1부에 이어 압도적인 스케일의 CG와 파워풀한 액션을 자랑하는 '외계+인' 2부는 모든 떡밥을 회수하며 궁금증을 해소하는 동시에 짜릿한 쾌감을 선사한다. 긴 시간 후반 작업에 매진해온 최동훈 감독은 김태리의 내레이션으로 1부를 정리한 6분 간의 써머리를 비롯한 여러가지 편집 과정을 통해 더욱 친절하고 섬세한 결과물을 완성했다. 1부의 성적은 아쉬웠지만, 충분히 이를 뒤집을 수 있는 완성도와 재미가 가득한 2부다. 결국 믿고 볼 수밖에 없다는 것을 제대로 입증해낸 최동훈 감독이다. 다음은 최동훈 감독과 나눈 일문일답이다.
- 이제 2부 개봉을 앞두고 있는데 어떤 마음인가?
"6년이 걸렸다. 믿기지 않고 긴장도 된다. 흥분되기도 하는데, 다 합쳐서 떨리는 마음인 것 같다."
- 2부 편집을 다 끝낸 후의 심경은 어땠나?
"12월 초에 기술 시사를 하고 편집을 한 번 더 하고 음악을 바꿨다. 마지막 녹음실에 가기 전날 '정말 더 바꿀 것이 없나, 1cm라도 더 할 게 없나' 생각했을 때 영화를 정말 다 털었다고 느끼는 순간이 왔다. 1부가 끝난 후 2부 후반 작업에 대한 동력을 어디서 얻을지 고민을 했다. 많은 것을 배웠다. 영화감독의 숙명이기도 한데, 52번 편집을 하면서 '후회가 안 남게 일을 해야지'라고 생각했다. 영화를 만든다는 건 힘들지만 되게 흥미로운 일이라고 느꼈다. 2부가 일종의 도를 닦게 해주는 영화였다."
- 언론시사회 때 눈물을 보이기도 했는데 어떤 감정이었나?
"창피한 일이다.(웃음) 기자 시사 때가 제일 떨린다. 옆에 배우들이 앉아 있고 앞에는 기자들이 있는데 '2부를 개봉할 수 있는 날이 오는구나' 싶더라. 되게 감사했다. 미안한 것도 있고."
- '외계+인' 2부에선 코미디가 좀 더 강해진 느낌이 있다.
"촬영 때는 이성의 갑옷을 입고 한다. 하지만 이하늬, 염정아, 조우진 배우가 그걸 파괴하는 부분이 있는데, 현장의 분위기가 영화에 반영이 되는 편이다. 저는 편집을 할 때 안 웃는다. 그런데 극장에서 관객들이 많이 웃었다고 해서 '어디서 웃는 거야?'라고 하기도 했다. 대부분 두 신선 때문에 웃으시는데, 우리는 한 번도 신선을 본 적이 없다. 어떻게 표현할까 했는데, 도를 많이 닦아도 어린 애들 같을 것 같더라. 위엄 있어 보이지 않고 속내가 뻔히 보이는 신선이면 좋겠다 싶었다. 코미디 연기가 아닌 정극 연기를 하되 그런 인물들이라고 얘기를 하고 촬영을 했다. 그리고 그런 복장으로 오면 웃기긴 하다. 저는 유머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비극 속에 희극이 있으면 좋고, 희극 속에 비극이 있어도 좋다. 그 적정선을 찾는 것을 좀 더 잘하고 싶다."
- 겉으론 SF가 주이지만, 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영웅의 보편성, 한국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처음 아이디어는 '가장 한국적인 SF를 만들자'였다. 할리우드처럼 CG를 할 수는 없지만, 외계인은 한국의 테크닉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소재도 한국적이어야 한다는 것이 원칙이었다. 외계인을 '괴물' 디자인하신 분이 하셨다. 봉준호 감독님에게 빚을 지고 있다.(웃음) 그리고 그 안에는 사람이 만나고 헤어지는 인연의 매듭이 있다. 인연을 맺는 과정의 이야기고, 모든 스토리가 끝났을 때 매듭이 풀리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 이들이 지구를 구했다고 하지만 아무도 모른다. 그런 이후 헤어졌을 때 이 사람들이 어떻게 되는지가 궁금했다. 이안(김태리 분)은 먼 길을 돌아 자기 집으로 왔다. 현대에선 하루 만의 일이다. 자기보다 작아진 침대에 눕는데 '세상을 구했어'라는 환호보다는 외롭고 그립고 그렇다. 그걸 표현하는 것이 세상에 이렇게 어려울 수가 없다. 김태리 배우와 많은 이야기를 했다. 많은 것을 표현해야 하는데 표정으로 다 해야 하는 거냐고 하길래 음악이 있으니 괜찮다고 했다. 그래서 그 부분의 음악을 만드는 것에 시간을 많이 들였다. 무륵(류준열 분)은 자신과 아무 상관없는 벽난정에 떨어졌다. 갈 곳이 없는 뜨내기고, 진짜 무륵이 가고 싶은 곳이 표현됐다. 그런 느낌의 대비가 있다. 멜로는 아니지만 인연과 그리움을 표현했다."
- 앞서 언급한 대로 모든 것이 끝난 후 인연에 대한 그리움, 외로움이라는 감정이 남아서 슬프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안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나 하는 생각도 들고. 통상적으로 SF 액션 판타지, 히어로 이야기라고 한다면 유쾌함, 통쾌함을 기대하는 이들이 많을 텐데, 그런 지점에서의 고민이 있지는 않았나?
"쓸 때부터 그런 엔딩을 바라는 것이 있었다. '타짜'의 끝도 고민했는데, 누군가는 '그리워할 거야', '외로워할 거야'라는 것이 있었다. '도둑들'도, '암살'도 있다. '외계+인'도 액션이 끝난 후 어떻게 끝을 낼까 고민이 있었는데, 사실 그게 제일 어렵다. 가드(김우빈 분) 집 앞에서 두 달 반 동안 액션을 차곡차곡 찍었다. 시간이 넉넉하지 않았다. 그걸 찍으면서 머릿속으로는 '엔딩을 어떻게 찍지?'라는 생각과 고민을 계속했다. 캐릭터들이 헤어지는 걸 찍으면 유치해지곤 하는데, 이 영화가 마지막에 전달하고 싶은 건 멋진 헤어짐이다. 너무 경쾌하지도, 너무 슬프지도 않은 리드미컬함이 있다. 음악을 'In Dreams'(인 드림스)로 했는데 그게 첫 번째 선택이었다.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고, 개봉 때까지 다른 음악을 찾을 수 있을 거라 했는데 수많은 음악을 넣어도 안 맞더라. 그래서 그 음악이 남아있게 됐다. MZ들은 모르는 음악인데, 그래서 순수하게 음악적인 느낌으로 다가올 수 있어 좋을 것 같기도 했다. 가사 중에 '굿바이'가 있는데 무륵과 이안이 헤어질 때 절묘하게 들리길 바라는 마음도 있었다. 한국 음악도 많이 넣었는데 헤어질 때의 분위기와 여운은 그 음악이 적합했다."
- 배우들에게 대사 녹음을 다시 부탁하기도 했다고 했는데, 그런 이유가 있었나?
"써머리를 만들어야 했는데 누구의 목소리로 해야 하나 고민을 했을 때 전편의 내막을 아는 사람이 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썬더(김우빈 분) 아니면 이안이다. 그래서 김우빈, 김태리 둘 모두에게 줬다. 도통 못 정하겠다 싶어서 녹음해서 들려달라고 했다. 수차례 내레이션을 고쳤다. 그러다 2부 이야기 시작의 주인공은 이안이 맞는 것 같다고 판단했고, 김태리에게 연락했다. 김우빈에게 전화해서 말하니 본인도 '이안이가 하는 게 맞다'라고 하더라. 무륵의 대사 단어도 바꿨다. 녹음해달라고 하니까 열 개를 해서 보내더라. 그걸 넣어서 편집했다. 어떤 건 정보 전달을 위해, 또 어떤 건 감정 전달을 위해 하기도 했다. 녹음실에서 다 녹음을 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